맨위로가기

도쿠가와 이에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1709년에 태어나 1716년에 사망한 에도 막부의 제7대 쇼군이다. 3세의 나이로 쇼군직에 올라 아라이 하쿠세키의 보좌를 받으며 통치했으나, 재위 기간 동안 통화 개혁과 대외 무역 문제를 겪었다. 6세의 어린 나이에 급성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자녀가 없어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직계는 단절되었고, 고산케 출신인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다음 쇼군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9년 출생 -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는 표트르 1세의 딸로, 쿠데타를 통해 러시아 여제가 되어 총신들의 영향력 아래 화려한 궁정 생활과 예술 발전을 추구하며 러시아의 위상을 높였으나 재정 악화와 농노제 심화라는 문제점을 남기고 표트르 3세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 1709년 출생 - 새뮤얼 존슨
    새뮤얼 존슨은 18세기 영국의 저명한 작가, 시인, 비평가, 사전 편찬가로서, 9년간 편찬한 영어 사전과 《런던》, 《인간 욕망의 허무》, 《라셀라스, 아비시니아 왕자》, 《영국 시인전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제임스 보스웰의 전기 《새뮤얼 존슨 전》으로 그의 삶과 업적이 알려져 있다.
  • 1716년 사망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716년 사망 - 레 희종
    레 희종은 후 레 왕조의 황제로, 찐딱의 섭정 하에 꼭두각시 군주로 지냈으나, 그의 치세는 정화지치라 불리며 평화와 질서를 가져왔다.
도쿠가와 이에쓰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종1위
이름도쿠가와 이에쓰구
원어 이름徳川 家継
원어 이름 (로마자 표기)Tokugawa Ietsugu
출생1709년 8월 8일
출생지에도, 도쿠가와 막부 (현재의 도쿄, 일본)
사망1716년 6월 19일
사망 장소도쿠가와 막부
서명
부모아버지: 도쿠가와 이에노부
어머니: 겟코인
관직
직위쇼군
군주나카미카도
임기 시작1713년 3월 29일
임기 종료1716년 6월 19일
이전도쿠가와 이에노부
계승도쿠가와 요시무네
가족 관계
배우자요시코노미야
자녀없음
기타 정보
개명세라다 나베마쓰
도쿠가와 이에쓰구
시호유쇼인덴 조쇼이치이 다이상고쿠코
계명유쇼인덴 쇼렌샤 도요 도쿠슈 다이코지
묘소도쿄도미나토구의 산엔잔 코도인 조조지
관위종2위곤다이나곤
정2위나이다이진
우고노에다이쇼
정1위다이죠다이진
씨족도쿠가와 쇼군 가문
형제자매도요히메
남자
마사히메 (고노에 이에히로의 딸)
이에치요
다이고로
이에쓰구
도라키치
정실없음 (약혼자: 야소노미야)
특기 사항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뒤를 이음

2. 생애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1709년 에도에서 도쿠가와 이에노부와 측실 게코인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6] 어릴 적 이름은 나베마쓰(鍋松)였다.[6] 1712년 아버지 이에노부가 사망하면서[6] 3세의 나이로 쇼군직을 계승했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나베마쓰(이에쓰구)를 옹립하고 후견하는 것을 추진하였고, 막부 내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이를 설득하였다.

도쿠가와 쇼군가의 관례는 쇼군가의 세자가 아버지인 쇼군으로부터 묘자 서출을 받아 성인식을 치르는 것이었으나, 나베마쓰가 성인식을 치르기 전에 아버지 이에노부가 사망했다. 막부는 레이겐 상황에게 묘자 서출을 요청했고, 1712년 12월 12일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노부쓰네에게 "이에쓰구"의 묘자 서출을 적은 친한을 하사했다.[7] 1712년 12월 25일, 이에쓰구는 종2위곤 다이나곤에 서임되었다.[6] 1713년 3월 25일, 다이로 이이 나오모리를 에보시 오야로 하여 성인식을 거행했고, 같은 해 4월 2일, 쇼군 선하를 받아 제7대 쇼군으로 취임했다.[8]

어린 나이에 쇼군이 되었기에[2] 통치 능력은 없었고, 아라이 하쿠세키의 보호와 조언을 받았다. 이에쓰구 재위 기간 동안 통화 개혁과 규슈의 대외 무역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루어졌는데, 이에쓰구는 국정에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아라이 하쿠세키가 이 문제들을 해결했다. 1713년 물가가 상승하자 1714년 새로운 금속 통화를 발행했고, 이에노부 통치 기간 동안 상승했던 쌀 가격은 이에쓰구 통치 기간에 통화가 도입된 후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1716년 나가사키현 데지마에서 네덜란드와 중국 상선만이 무역을 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고, 에도와 나가사키에 두 명의 외국 무역 위원을 임명하여 매년 30척의 중국 선박과 2척의 네덜란드 선박의 입국을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고립된 상태를 유지했다.

1716년 4월 30일,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감기 합병증으로 6세(만 나이)로 사망했다.[3] 그는 통치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장난기 많은 인물로 여겨졌다. 자녀가 없었기에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직계 후손은 끊어졌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른 자녀들을 통해 내려온 방계 혈통에서 새로운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선택되었다. 그의 법명은 유쇼인이며, 조조지에 묻혔다.

이에쓰구의 묘소(유쇼인)는 시바 공원의 조조지에 있다.

2. 1. 유년 시절 (1709년 - 1713년)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1709년 에도에서 도쿠가와 이에노부와 측실 게코인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6] 어릴 적 이름은 나베마쓰(鍋松)였다.[6] 아버지 이에노부는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의 조언을 받아 통치하였으며, 하쿠세키는 이에쓰구의 교육에도 관여하였다.

이에노부의 아들들은 병약하여, 고노에 히데코(덴에이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도요히메는 1681년에, 측실 오코노가타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이에치요는 1707년에, 1708년에 태어난 다이고로는 1710년에, 1711년에 태어난 토라키치도 요절하여, 나베마쓰만이 살아남았다.

1712년 아버지 이에노부가 사망하면서[6] 3세의 나이로 쇼군직을 계승하게 되었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나베마쓰(이에쓰구)를 옹립하고 후견하는 것을 추진하였고, 이에 대해 막부 내에서는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하쿠세키는 반대 의견을 설득하였다고 한다.

도쿠가와 쇼군가의 관례는 쇼군가의 세자가 아버지인 쇼군으로부터 묘자 서출을 받아 성인식을 치르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베마쓰가 성인식을 치르기 전에 아버지인 이에노부가 죽고 말았다. 그래서 막부는 레이겐 상황에게 묘자 서출을 요청했다. 막부의 요청을 받은 상황은 1712년 12월 12일에 교토 쇼시다이 마쓰다이라 노부쓰네에게 "이에쓰구"의 묘자 서출을 적은 친한을 하사했다.[7] 1712년 12월 25일, 종2위곤 다이나곤에 서임, 이에쓰구라고 칭했다.[6]

1713년 3월 25일, 다이로 이이 나오모리를 에보시 오야로 하여 성인식을 거행했다. 같은 해 4월 2일, 이에쓰구는 쇼군 선하를 받아 제7대 쇼군으로 취임했다.[8]

2. 2. 쇼군 재위 (1713년 - 1716년)

어린 나이에 바쿠후의 쇼군이 되었지만,[2] 통치할 능력은 없었기에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의 보호와 조언을 받았다. 이에쓰구의 재위 기간 동안 통화 개혁과 규슈의 대외 무역 문제가 주요 현안으로 다루어졌다. 이에쓰구는 국정에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그의 조언자인 아라이 하쿠세키가 이 문제들을 해결했다.

1715년, 레이겐 천황의 딸 요시코노미야와 결혼했다. 당시 이에쓰구는 5세였고, 요시코노미야는 1세였다.

1713년, 물가가 상승하자 이에쓰구와 아라이는 여러 제안을 거쳐 1714년 새로운 금속 통화를 발행했다. 이에노부 통치 기간 동안 상승했던 쌀 가격은 이에쓰구 통치 기간에 통화가 도입된 후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통화 개혁은 대외 무역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1716년, 나가사키현 데지마에서 네덜란드와 중국 상선만이 무역을 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또한, 바쿠후는 에도와 나가사키에 두 명의 외국 무역 위원을 임명하고, 매년 30척의 중국 선박과 2척의 네덜란드 선박의 입국을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고립된 상태를 유지했다.

이에쓰구는 아라이 하쿠세키와 함께 쇼토쿠 개혁을 이어갔다. 이 기간 동안 막정은 어린 이에쓰구를 대신하여 생모 게코인(月光院)과 측근인 마나베 아키후사, 고문 격인 아라이 하쿠세키 등이 주도했다.

쇼토쿠 6년(1716년) 1월, 레이겐 천황의 3살 황녀인 야소노미야와 혼약했다[9]

2. 3. 사망 (1716년)

正徳일본어 6년 4월 30일(1716년),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감기의 합병증으로 6세(만 나이)로 사망했다.[3] 그는 통치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장난기 많은 인물로 여겨졌다. 자녀가 없었기에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직계 후손은 끊어졌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른 자녀들을 통해 내려온 방계 혈통이 있었고, 새로운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이 방계에서 선택되었다. 그의 법명은 유쇼인이며, 조조지에 묻혔다.

같은 해 5월 25일, 정1위 태정대신추증되었다.

사망 원인은 감기 악화에 의한 급성 폐렴으로 여겨진다.[10]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도쿠가와 이에노부
어머니겟코인
부인야소노미야 요시코


4. 사후

이에쓰구의 사망으로 도쿠가와 히데타다 계통의 종가는 단절되었고, 쇼군직은 기슈 도쿠가와가도쿠가와 요시무네가 계승하였다.[13][14][11] 요시무네는 이에쓰구의 고종사촌 큰아버지(할아버지 쓰나시게와 고종사촌 관계)에 해당한다.

5. 평가 및 일화

『도쿠가와 실기』에는 타고난 성격이 총명하고 아버지 이에노부를 닮아 어진 마음이 있었으며, 행동도 우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 조조지 묘지 개장 당시 유골 조사에서는 이에쓰구의 유골은 발견되지 않았고, 유발과 손톱, 유품만이 남아 있었다.[2] 이에쓰구의 혈액형A형이었다.[2]

6. 연호

이에쓰구의 쇼군 재위 기간은 다음의 연호를 포함한다.[2]

7. 현대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2006
[2] 서적 Annales du empereurs du Japon 1834
[3] 서적
[4]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5-06
[5] 문서 過去にさかのぼれば鎌倉時代の惟康王(後の惟康親王)が数え3歳で征夷大将軍に任ぜられており、家継はそれに次ぐものである。
[6] 문서 家継の幼名・鍋松から、間部(間鍋)詮房が父という説があるが、俗説で信憑性は低い。
[7] 문서 兼香公記 1717-12-14 # 정덕 2년 12월 14일
[8] 서적 2017
[9] 서적 2017
[10] 서적 徳川将軍家十五代のカルテ 新潮新書 2005-05
[11] 문서 この時点では第3代将軍・徳川家光の男系子孫は残っており、家継の叔父にあたる松平清武とその子(家継から見れば従兄)清方が享保9年(1724年)に死去して断絶した。女系子孫では家光の唯一の娘千代姫の血筋が現在まで存続している。
[12] 간행물 鹿児島県史料集 鹿児島県立図書館 1966-03-31
[13] 문서 그나마 이에노부 자식들 중엔 오래살았다.
[14] 문서 아직 이에노부의 친동생 마쓰다이라 기요타케가 생존한 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